본문 바로가기

초전도체 기술5

초전도체 기술 - 한국 : 소재 연구부터 실증 사업까지 한국의 초전도체 기술 : 소재 연구부터 실증사업까지 1. 고온 초전도체 소재 연구 집중 (1) 주요 연구 기관 및 대학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등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고온 초전도체 소재 개발과 물성 연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서울대, 포항공대(POSTECH), 연세대 등 주요 대학에서도 고온 초전도체 신소재 합성, 결정구조 분석, 전기적 특성 평가 등 기초 및 응용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2) 연구 방향과 성과 신소재 합성 : 이황화물계, 구리산화물계 등 다양한 고온 초전도체 소재를 합성하여 임계온도(Tc) 상승과 안정성 향상을 목표로 연구 중입니다.박막 및 와이어 제작 : 초전도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박막과 와이어.. 2025. 5. 1.
초전도체 기술 - 중국 : 정부 주도 연구와 빠른 상용화 추진 중국의 초전도체 기술 : 정부 주도 연구와 빠른 상용화 추진 1. 정부 주도의 대규모 연구 투자 및 인프라 구축 1) 국가 전략적 투자중국 정부는 ‘차세대 신소재 개발’ 및 ‘신에너지’ 분야를 국가 전략 프로젝트로 지정하고, 초전도체 연구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 있습니다.중국 과학기술부(MOST), 국가자연과학기금(NSFC) 등을 중심으로 수십억 위안 규모의 연구비가 지원되고 있으며, 초전도체 소재 개발부터 응용기술, 산업화까지 전 주기 연구를 체계적으로 지원합니다. 2) 연구소 및 대학 중심 인프라 구축중국과학원(CAS) 산하의 여러 연구소들(예: 고압물리 및 초전도 연구소)이 초전도체 물질 합성, 물성 분석, 응용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칭화대, 베이징대, 푸단대 등 주요 대학들도 초전도체 분야에.. 2025. 4. 28.
초전도체 기술 - 일본 : 고온 초전도 응용과 상용화 선도 1. 고온 초전도체 응용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 일본은 1987년 고온 초전도체(HTS)가 발견된 직후부터 집중적인 연구와 개발에 착수해, 응용 기술과 실용화를 세계에서 가장 앞서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고온 초전도체의 특성을 산업 현장에 적용하는 데 매우 성공적이었는데요, 그 중심에는 자기부상열차와 전력기기 분야가 있습니다. 2. 초전도 자기부상열차(마그레브) 기술 1) 마그레브 개요일본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근접한 초전도 자기부상열차(마그네틱 레비테이션 트레인, 줄여서 마그레브)를 개발했습니다.마그레브는 초전도체가 생성하는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해 차량을 선로에서 띄워 마찰 없이 고속 주행이 가능하게 합니다.대표적인 예가 JR 도카이(중앙 신칸센)에서 추진 중인 ‘리니어 중앙 신칸센’ 프로젝트입니다.. 2025. 4. 27.
초전도체 기술 - 미국 : 연구 인프라부터 양자컴퓨터까지 1.연구 인프라 및 자본 투자미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 인프라와 풍부한 자본을 바탕으로 초전도체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 국가 연구기관 및 대학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국립연구소들(예: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아르곤 국립연구소)은 초전도체 소재 개발과 물리적 특성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MIT, 스탠포드, 하버드 등 주요 대학들도 초전도 현상과 신소재 개발에 대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활발히 수행 중입니다. 2) 정부 연구 지원 및 펀딩미국 정부는 초전도체 기술을 포함한 첨단 소재 및 양자정보기술 개발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등도 초전도체 기반 신기술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 중입니다. 3) 산업계 투자구글,.. 2025. 4. 26.
초전도체 기술, 어디까지 왔을까? 그리고 누가 앞서가고 있을까? 1. 초전도체란?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 이하에서 전기 저항이 완전히 사라지고, 자기장을 내부로 침투시키지 않는(마이스너 효과) 물질을 뜻합니다. 이 특성 덕분에 초전도체는 에너지 손실 없이 전기를 전달할 수 있어, 발전, 의료,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현재 초전도체 기술의 발전 현황 (1) 고온 초전도체의 등장과거 초전도체는 극저온(액체 헬륨 온도, 약 4K)에서만 작동했기에 현실적 활용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1986년, 고온 초전도체(HTS)가 발견되면서 액체 질소 온도(약 77K)에서도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이 개발됐죠. 이 덕분에 냉각 비용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2) 최근 연구 동향: 상온 초전도체2020년대에 들어서는 상온 초전도체에 대한.. 2025. 4. 26.
반응형